서영태 (사)전국지역신문협회 충남협의회장

충남과 대전은 1989년 분리돼 별개의 광역자치단체로 운영된 지 34년이 지났다. 올해 기준 충남 212만 명, 충북 159만 명, 대전 145만 명, 세종 38만 명 등 인구만 놓고 보더라도 충남이 가장 많다.

하지만 한국도로공사 등 31개 공공기관 지역 본부·지사는 대전과 충남을 분리하지 않고 있다. 충남에 독립적인 본부·지사가 설치한 기관은 5개에 불과한 반면 충북은 24개다.

이 때문에 충남이 왜 대전 관할에 있어야 하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독립된 기관도 충북의 5분의 1밖에 되지 않아 납득하기 어렵다.

이에 충남도가 지역을 관할하면서 본부·지사가 대전을 비롯한 다른 지역에 있는 정부 산하 31개 공공기관 유치에 본격적으로 돌입했다.

당국은 관련 전담팀(TF)을 꾸리고, 공공기관 본사와 소관 부처를 상대로 충남본부 분리·독립을 지속해 요청할 계획이다. 아울러 독립한 공공기관에는 예산과 부지·관련 행정 절차를, 이주 직원에게는 정착금과 자녀 장학금·주택자금 대출 이자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김태흠 지사도 최근 해당 기관에 ‘충남지사 분리·독립 촉구 서한문'을 보냈다고 밝혔다.

한편, 더욱 큰 노력이 필요해 보이는 것이 바로 정부의 2차 이전 대상 공공기관이다. 많게는 500여 개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면서 충남만의 공공기관 유치 전략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뒤늦게 혁신도시에 포함된 충남은 일단 정부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도 지역 파급효과가 클 공공기관을 우선 유치할 수 있도록 전략 마련이 시급해 보인다.

충남은 드래프트제 적용 기관 13개, 특화기능 공공기관 21개 등 총 34개를 점찍고 있다. 지방 소멸에 대비해 규모가 큰 한국환경공단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사회보장정보원, 우체국금융개발원 등을 우선 요구하고 있다. 한국지역난방공사, 해양환경공단, 한국석유관리원,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등 특화기능을 살린 공공기관이 주요 대상이다.

충남은 특히 공공기관 우선 이전이 이뤄질 수 있도록, 선제적으로 홍성과 예산의 업무시설용지를 활용해 합동임대청사를 신축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유치 경쟁에 이어 공공기관 반발, 총선 변수 등이 걸림돌로 작용하면서 공공기관 이전이 언제쯤 이뤄질 수 있을 진 가늠하기 어렵다.

이와 관련 가장 실효성 있는 유치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일단 충청권 내부에서 유치 공공기관이 중복되지 않은 지 검토해보고, 어떤 기관이 도시브랜드를 강화하는 데 적합한 지 따져봐야 할 것이다.

공공기관 이전 후에도 혁신도시가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정주여건, 교육 인프라 확충 등의 대안도 선제적으로 고심해서 충남지역 자치단체에 가장 잘 맞고 적절한 공공기관이 유치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주길 바란다.

저작권자 © 보령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